반응형
바나나 공화국이란 말을 아는가? 가끔 해외 다른 나라들에 대해서 이야기할 때, 나올 수 있는 단어인데 이 단어는 부패나 기타 여러가지 상황에 의하여 정국 불안과 심한 대외 결제 의존을 겪는 국가를 멸칭으로 표현하는 단어이다.
원 의미는 바나나 등 1차 상품의 수출에 의존하면서 서구 자본에 경제가 예속된 국가들을 나타내는 단어였으며, 미국에 경제가 휘둘리던 중남미의 엘살바도르, 그레나다, 니카라과, 과테말라, 온두라스 등을 지칭하던 단어로 사용됐다.
이 국가들은 바나나 같은 1차 상품이 국가 경제의 큰 부분을 차치하는데, 주로 미국 다국적 기업에 의해 농업이 좌지우지됐었다. 이는 이들 국가의 정치 지도 세력들이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국가 기반 시설들의 통제권을 미국 기업에 넘긴 결과다.
이 단어가 처음 사용된 것은 유명 작가 O.헨리가 1904년 단편에서 중남미 온두라스를 빗댄 가상국가를 바나나 공화국으로 지칭하면서 부터 생겨났다.
여기서 바나나 공화국은 겉은 번지르르 하지만 쉽게 썩는 바나나의 특징을 빗댄 단어이다. 이 용어는 과거에는 중남미 국가에 주소 사용 됐지만 현재는 부패정치, 독재 등 정치적 불안정과 극심한 빈부격차로 구제불능 상태에 있는 국가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확대되어 사용 되고 있다.
북한도 이렇게 본다면 충분히 바나나 공화국이라고 할 수 있겠다.
반응형
'잡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잡학상식 00128. 고르곤졸라 치즈에 대해 알아보자.(고르곤졸라의 기원) (0) | 2022.07.14 |
---|---|
잡학상식 00127. 인류의 발상지는 어느 대륙인가?(최초의 유인원) (0) | 2022.07.12 |
잡학상식 00125. 비행기 좌석 등급과 비행기 사고에서 살아날 확률(퍼스트, 비즈니스, 이코노미) (0) | 2022.07.08 |
잡학상식 00124. 아이스버킷 챌린지와 루게릭병 (0) | 2022.07.07 |
잡학상식 00123. 세계 최초의 사진과 찍힌 년도 (0) | 2022.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