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화산에서는 금을 쏟아낸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
이탈리아의 에트나 화산만 해도 1년 동안 분화구에서 방출하는 금의 양이 1,200킬로그램이나 된다고 한다. 물론 화산에서 나오는 금속은 금 만이 나오는 것이 아니며 다른 금속도 많이 섞여 나온다. 하지만 금도 많이 나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그렇다면 왜 화산에서 금을 추출하지 않는가? 그 이유는 화산에서 나오는 금은 유황가스와 수증기, 이산화탄소나 용암같은 다른 물질에 뒤섞여나오기 때문에 금의 밀도가 매우 희박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금을 추출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불가능에 가까우며, 가능하다 하더라도 금을 추출하여 발생하는 수익보다 추출하는 비용이 더 많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다만, 바다 밑에 있는 화산지대에서 끓어오르는 온천 부근의 금광이라면 상황이 많이 다르다. 이곳의 금 성분은 대부분 황화합물 형태로 바닥에 가라앉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쓸모있는 금광 형태로 발전한다.
실제로 이런 식으로 발생한 바다 및 광상은 이런 식으로 생겨난 것 들이라고 한다.
반응형
'잡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잡학상식 00158. 사람의 키는 아침에 가장 크다.(키를 아침에 재야 하는 이유) (0) | 2022.12.20 |
---|---|
잡학상식 00157. 노벨상을 가장 많이 받은 대학은? (0) | 2022.12.19 |
잡학상식 00155. 세상에서 가장 긴 벌레는 무엇일까? (0) | 2022.12.16 |
잡학상식 00154. 다즐링(다르질링)은 인도의 도시 이름이기도 하다. (0) | 2022.12.15 |
잡학상식 00153. '시치미를 뗀다'의 시치미는 무엇일까?(매 꽁지) (0) | 2022.12.14 |